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9 WBSC 프리미어 12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1회2회3회4회5회
201520192024
파일:WBSC 로고.svg




2019 WBSC 프리미어 12
2019 WBSC Premier 12™
파일:WBSC 프리미어 12_한글_로고_2019.png
파일:2019 premier 12_tiket_logo.png
대회 기간 2019년 11월 2일 ~ 2019년 11월 17일
개최국
파일:일본 국기.sv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멕시코 국기.svg

/
파일:대만 국기.svg

개최 도시 도쿄도, 치바, 서울특별시, 타이중시, 과달라하라
슬로건 Is your country ready?
공인구 파일:external/kr.vector.me/ssk.png
SSK
참가팀 12개팀
대회 결과
우승 파일:WBSC_일본_국기_s.png 일본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준우승 파일:WBSC_대한민국_국기_s.png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3위 파일:WBSC_멕시코_국기_s.png 멕시코파일:멕시코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4위 파일:WBSC_미국_국기_s.png 미국파일: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수상
MVP 파일:WBSC_일본_국기_s.png 스즈키 세이야
이전·이후 대회
2015년
초대 대회
2019년 2024년
3회 대회
공식 홈페이지 | SBS VOD 다시보기[1]
1. 개요
2. 홍보 영상
3. 개최국 및 경기장
4. 출전 12개국
5. 대회 준비
6. 대회 스폰서
7. 대회 진행
8. 최종 순위
9. 개인수상
10. 이모저모
11.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WBSC 프리미어 12 두 번째 대회. 2020 도쿄 올림픽 야구의 예선 역할도 겸했으며 여기서 대한민국과 멕시코가 본선 진출을 따냈다. 대회 결과 우승은 일본, 준우승은 대한민국, 3위는 멕시코, 4위는 미국이 차지했다.


2. 홍보 영상[편집]


공식 홍보 영상

오프닝 영상

프리미어 12:웰컴 투 과달라하라

프리미어 12:웰컴 투 타이완

프리미어 12:웰컴 투 서울

프리미어 12:웰컴 투 도쿄


3. 개최국 및 경기장[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height=40><width=33.33%><rowbgcolor=#0066b3> 조별리그 A조
파일:멕시코 국기.svg 과달라하라 ||<width=33.33%> 조별리그 B조
파일:대만 국기.svg 타이중 ||<width=33.33%> 조별리그 B조
파일:대만 국기.svg 타오위안 ||
||<height=40> 에스타디오 차로 데 할리스코
(16,500명) ||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20,000명) || 타오위안 국제야구장
(20,000명) ||
||<rowbgcolor=#0066b3> 조별리그 C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height=40> 슈퍼라운드
파일:일본 국기.svg 치바 || 슈퍼 라운드 메달 결정전
파일:일본 국기.svg 도쿄 ||
||<height=40> 고척 스카이돔
(25,000명) || ZOZO 마린 스타디움
(30,348명) || 도쿄 돔
(45,600명) ||
||<-3>
파일:WBSC 로고.svg
||





3.1. 일본[편집]


東京ドーム / Tokyo Dome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fc8d41c3.jpg
도쿄 돔 (55,000명)

ZOZOマリンスタジアム / ZOZO Marin Staduim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69e6e8dd.jpg
ZOZO 마린 스타디움 (30,348명)


3.2. 대한민국[편집]


고척 스카이돔 / Gocheok Sky Dome
파일:external/300204c1f9389f8ee93d300217051f3014adcd4ab9807f6d2171ae007edb5c15.jpg
고척 스카이돔 (17,000석)


3.3. 대만[편집]


台中洲際棒球場 / Taichung baseball Stadium
파일:29412964273_110c399a8f_b.jpg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 (25,000석)


3.4. 멕시코[편집]


Estadio de Béisbol Charros de Jalisco y Atletismo
파일:external/securea.mlb.com/jalisco_0j0jjuki_914gwbne.jpg
차로스 데 할리스코 (16,500석)


4. 출전 12개국[편집]


파일:Web-Qualified-Nations-Top-12-Premier12-2019-L-1.jpg


WBSC는 2018년 12월 19일 공식 사이트를 통해 2019 WBSC 프리미어 12의 출전국을 발표했다. 전 대회에 참가했던 이탈리아 야구 국가대표팀이 WBSC 랭킹 하락으로 빠지고 대신 그 자리를 호주 대표팀이 차지했다.

5. 대회 준비[편집]


2020 도쿄 올림픽에서 야구가 잠시나마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야구 강국인 미국, 도미니카, 베네수엘라, 푸에르토리코, 쿠바 등과 맞붙을 수 있기 때문에[2] 제 1회 대회보다는 훨씬 수준 높은 대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9월 4일, 2019 프리미어 12도 일본에서 개최한다는 기사가 나왔다. WBSC일본야구기구가 제 2회 프리미어 12 개최 의지를 드러내었으며, 합의를 마쳤다 밝혔다. 참고로 WBSC는 일본야구기구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되는 기구이기 때문에 한동안은 일본에서 개최될 확률이 높다.

2020 도쿄 올림픽 야구 종목의 경우 영구 정식 종목이 아닌 개최국의 선택으로 일회적으로 편입되는 종목으로 선정되어 다시 복귀한 터라, 지난 올림픽보다 참가국이 줄어서 6개국만 참여하게 되었다.

2020년 도쿄 올림픽 야구 종목 참여국의 선정 방식은 다음과 같다. 출처

따라서 김경문호의 이번 대회의 가장 큰 목표는 대만과 호주보다 더 나은 성적을 거두면서 2020년 도쿄 올림픽 진출권을 따내는 것이다. 2019년 10월에 대만 타이중에서 개최된 2019 아시아 야구 선수권대회 에서 대학 야구 선수로 구성된 대한민국 대표팀이 슈퍼라운드-3, 4위전까지 전패하여 최종 4위로 최종예선 진출 티켓 획득에 실패하였는데, 이로 인해 호주가 대만과 한국을 앞선다면 2020 도쿄 올림픽 출전권이 완전히 날아가버린다.[6] 이번 대회는 2015년 대회보다 경쟁이 치열해졌다. 각 국가들이 로스터를 꽤 잘 구성했다. 일본은 야나기타 유키, 센가 코다이, 야마카와 호타카, 모리 토모야 등 기대를 모았던 정예멤버들이 줄줄이 불참했지만 여전히 우승후보이고, 미국 역시 유능하고 어린 선수들로 구성했다. 도미니카 공화국은 빅리그 149승에 빛나는 어빈 산타나, 메이저리그 신인왕 출신 네프탈리 펠리즈, KBO의 강타자 멜 로하스 주니어[7] 일본프로야구리그 팀인 주니치에서 활약하는 애니로메로와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뛰는 사무엘 아다메스 등을 선발하며 작정하고 우승을 하겠다는 모습으로 로스터를 구상했다. 대한민국과 같은 조에 있는 호주도 KBO리그에서 활약한 트레비스 블랙클리와 피터 모일란 등을 선발했고[8] 캐나다 역시 브록 다익손, 2016 메이저리그 올스타 출신 마이클 손더스, NPB에서 마무리로 활약하는 스캇 매티슨을 선발하였다. 쿠바 역시 NPB에서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주전불펜으로 활약하는 리반 모이넬로와 같은 팀 소속으로 홈런 36개를 때린 알프레드 데스파이그네와 역시 같은 팀인 홈런 28개를 때리며 재팬시리즈 MVP인 유라시엘 그라시알을 선발하였다. 네덜란드는 MLB 53승 투수인 자이어 저젠스, KBO 리그에서 KIA 타이거즈의 통합우승을 이끌었던 로저 버나디나, MLB에서 불펜투수로 뛰고 있는 샤이런 마티아스와 타이중 참사의 주인공인 디에고 마크웰 올란도 인테마를 선발하였고 대만은 미국과 일본에서 뛰고있는 양다이강, 장사오칭, 후즈웨이, 천관위, 장이 같은 선수들을, 베네수엘라는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두차례 두자리수 승수를 거두며 보스턴의 월드시리즈 우승의 공을 세우고 KBO 리그에서도 활약한 펠릭스 듀브론트, 마이애미 말린스에서 노히트 노런을 기록했던 2014 메이저리그 올스타 출신인 핸더슨 알바레즈, 애틀란타 브레이브스에서 선발로 활약한 윌리엄 페레스, MLB 통산 536경기에 출장한 안드레스 블랑코, 디트로이트의 유격수였던 딕슨 마차도 등을 선발했고 멕시코 역시 NPB에서 뛰는 애프런 나바로, MLB에서 10년간 마무리로 활약했던 노엘 살라스, 샌디에이고 파드레스에서 20홈런을 때렸던 크리스티아누 비야누에바등을 선발하면서 대회에 참가한 12개의 참가국중 호주와 푸에르토리코를 제외한 10개국이 4년전 대회보다 강력한 전력을 가지고 대회에 참가하였다.


6. 대회 스폰서[편집]




7. 대회 진행[편집]


파일:WBSC 프리미어 12 엠블럼.svg
경기 일정
조별예선
A조
·
B조
·
C조
결선 풀리그
슈퍼 라운드
메달 결정전
메달 결정전
관련 문서
지바 쇼크



전년도에는 예선이 2개조(A,B)로 편성 되었고 풀리그를 통해 각 조별로 상위 4개팀이 상위토너먼트에 진출하는 구조였다. 2019년부터는 4개팀씩 3개조(A,B,C)로 구성되며 각 조별 상위 2개팀이 2라운드에 진출한다. 2라운드는 풀리그로 진행되며 이중 상위 2팀이 결승전을, 중위 2팀은 3위 결정전을 치르게 된다.


7.1. 조별 리그[편집]


파일:WBSC-Premier12-2019.jpg

조별 리그
1위
(슈퍼 라운드 진출)
2위
(슈퍼 라운드 진출)
3위
(탈락)
4위
(탈락)
A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3승)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승 1패)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1승 2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3패)
B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3승)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2승 1패)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1승 2패)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푸에르토리코
(3패)
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3승)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1승 2패)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1승 2패)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1승 2패)

7.1.1. A조[편집]



3개의 미주지역 국가와 유일한 유럽지역 국가인 네덜란드로 짜인 A조의 경우 멕시코 할리스코주의 주도이자 멕시코 제 2의 도시인 과달라하라 인근의 도시인 사포판에 위치한 Estadio de Béisbol Charros de Jalisco y Atletismo에서 경기를 하게 되었다. 이 경기장은 2017 WBC 예선라운드 D조의 경기장으로서 사용되기도 했었다.


7.1.2. B조[편집]


B조의 경우 2개의 아시아 국가와 2개의 미주 국가로 짜인 B조는 대만 타이중의 타이중 저우지 야구장에서 경기를 펼친다. 이 경기장에는 2006년 대륙간컵, 2007년 야구 월드컵, 2007 아시아 야구 선수권, 2008 베이징 올림픽 대륙별 플레이오프, 2013 WBC 예선 등 많은 야구 국제대회들이 열려왔다.


7.1.3. C조[편집]


C조의 경우 하나의 아시아 국가, 하나의 오세아니아 국가, 두개의 미주 국가가 배정되었다. 한국 입장에선 A, B조와 비교할 때 난적 쿠바를 제외하면 나쁘지 않다. 키움 히어로즈의 홈구장이자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예선 서울라운드가 열렸던 대한민국 서울 고척 스카이돔에서 경기가 열린다.


7.2. 슈퍼 라운드[편집]


슈퍼 라운드
순위국가경기 수득점공격이닝실점수비이닝TQB승률승차
1파일:WBSC 일본 국기.png 일본541274216450.279.800
2파일:WBSC 대한민국 국기.png 대한민국532254221440.118.600
3파일:WBSC 멕시코 국기.png 멕시코532174312430.116.6001
4파일:WBSC 미국 국기.png 미국52311442044-0.204.4002
5파일:WBSC 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png 대만523134411430.039.4002
6파일:WBSC 호주 국기.png 호주5145451741-0.303.2003
각조의 상위 1, 2위팀이 슈퍼 라운드로 진출하며, 슈퍼 라운드는 일본 치바의 ZOZO 마린 스타디움과 도쿄의 도쿄 돔에서 진행된다.


7.3. 메달 결정전[편집]


메달 결정전
3위 결정전결승전
3위 결정전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3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결승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53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슈퍼라운드에서 상위 1, 2위팀끼리 결승전 그리고 3, 4위팀이 3위 결정전인 메달 결정전으로 진출하며, 메달 결정전은 2015년 1회 대회에 이어 이번에도 도쿄 돔에서 열릴 예정이다.

7.4. 우승[편집]


2019 WBSC 프리미어 12 우승
파일:2019 WBSC 프리미어 12 우승.jpg
첫 번째 우승

8. 최종 순위[편집]


순위국가경기비고최종 성적
1파일:WBSC_일본_국기_s.png 일본871우승
2파일:WBSC_대한민국_국기_s.png 대한민국853[10]준우승
3파일:WBSC_멕시코_국기_s.png 멕시코862[11]3위
4파일:WBSC_미국_국기_s.png 미국8444위
5파일:WBSC_차이니즈_타이베이_국기_s.png 대만743슈퍼라운드
6파일:WBSC_호주_국기_s.png 호주725슈퍼라운드
7파일:WBSC_캐나다_국기_s.png 캐나다312조별리그
7파일:WBSC_도미니카_공화국_국기_s.png 도미니카 공화국312조별리그
7파일:WBSC_베네수엘라_국기_s.png 베네수엘라312조별리그
10파일:WBSC_쿠바_국기_s.png 쿠바312조별리그
10파일:WBSC_네덜란드_국기_s.png 네덜란드303조별리그
10파일:WBSC_푸에르토_리코_기_s.png 푸에르토리코303조별리그


9. 개인수상[편집]


2019 WBSC 프리미어 12 MVP
파일:스즈키_세이야_2019 프리미어12_mvp.jpg
스즈키 세이야 파일: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10. 이모저모[편집]


대한민국의 응원 문화

11.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03:08:52에 나무위키 2019 WBSC 프리미어 1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일부 경기는 유료.[2] 미국은 역대 올림픽마다 했던 것처럼 대학+마이너리그 선수 위주로 갈 듯하다.[3] 아메리카 지역 팀의 경우 이 조항이 없는데, 어차피 조편성상 A조에 속한 멕시코, 미국, 도미니카 중 한 팀은 6위 안에 들게 되어있다. 애초에 12개 팀 중에 7개팀이 아메리카 팀이니 당연한 일.[4] 네덜란드[5] 대만, 중국[6] 대만이 따내면 최종 예선에서 대만 대신 차순위로 출전 가능해 기회는 남아있게 된다.[7] 그러나 여권 발급에 문제가 생겨 하차하고 대체 선수로 같은 KBO 출신인 카를로스 페게로가 합류했다.[8] 출전이 예상되었던 워릭 서폴드는 불참을 선언했다.[9] 유니폼 슬리브스폰서로 참여하며 참가국 12개국의 유니폼 소매에 리포비탄의 로고가 부착된다.[10] 2020 도쿄 올림픽 진출.[11] 2020 도쿄 올림픽 진출.[12] 역시 지난 대회와 마찬가지로 지상파 DMB 중계권을 계약하지 않아 동시간 DMB 채널에서는 드림콘서트 재방송이 나갔다. 어차피 그 당시에는 OTT 서비스 등 대체재의 활성화와 갓 출시되었던 갤럭시 노트10 시리즈를 시작으로 지상파 DMB 기능이 제외되면서 지상파 DMB 자체가 사양길로 접어들기 시작할 무렵이라 아무런 신경이 쓰이지 않긴 했지만...[13] 단, 2021년으로 예정되었던 차기 WBC에서는 유니폼을 제공할 수 없었다. WBC 참가국은 메이저리그 유니폼 공급업체 것을 입도록 되어 있고, 제제금을 내야지만 기존 스폰서 것을 입을 수 있다. 당시 시점으로 MLB 공급업체는 나이키므로, 일제 논란을 가볍게 피해갈 수 있었다. 이후 차기 WBC가 코로나19 펜데믹 여파로 인해 2023년으로 연기되었고, 2022년을 기해 스폰서가 프로스펙스로 바뀌면서 이 문제는 사실상 일단락되었다.[14] 2023년 현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니폼 스폰서가 프로스펙스로 변경되었다.[15] KBO말로는 현수막을 제거하는데 3일이 걸리는데, 한국시리즈 종료후 2일만에 대표팀이 훈련을 시작하고, 평가전까지 잡혀서 제거를 못했다고 하였다.[16] 메이저리그 선수들은 출전 불가능하므로 캐나다나 호주에 있는 유명한 선수들은 프리미어 12 경기에 나오지 못한다.[17] 이번 프리미어12 예선의 티켓값은 가장 비싼 다이아몬드클럽이 10만 5000원, 1층 테이블석 9만 원이었고 2층 테이블석 역시 7만 5000원으로 상당한 고가다. 또한 내야 지정석(6만 원), 외야 지정석(5만 원)의 가격도 만만치 않은 게 사실이다.[18] 2015년 1회 대회때 우승했던 한국은 준우승, 2위였던 미국은 4위, 3위였던 일본은 우승, 4위였던 멕시코는 3위를 기록했다.